도메인 인증이란 SSL 서버증명서 소유자가 신청자임을 확인 도메인 인증이란 웹사이트 확인 및 암호화 통신을 위해 이용하는 SSL 서버증명서를 인증국에서 발급할 때 신청된 도메인(example.com 등)의 소유자가 신청자임을 확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확인을 거쳐 그 도메인의 정보(커먼 네임: 서브 도메인까지 포함한 도메인 이름.www.example.com 등)이 기재된 SSL 서버 증명서가 발행됩니다. 이 도메인 인증 이외에도 신청한 기업의 법적 실재성을 확인하는 기업 실재인증 혹은 기업의 법적/물리적 실재성과 승인자 및 서명자 확인 등까지 실시하는 EV인증도 있습니다. 도메인 인증에서 확인하는 것은 도메인 소유 여부 뿐이지만 기업 실재 인증이나 EV 인증에서는 기업의 실재성 등까지 체크가 이루어지기..
트랜싯이란 네트워크 접속 형태의 하나 트랜싯이란, 인터넷에 네트워크를 접속하는 형태의 하나입니다.기업이나 개인 전용으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등에서는, 자율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네트워크를 AS(Autonomous System:자율시스템)라고 부릅니다.이 AS를 인터넷에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AS에 연결하고 패킷을 더 보내기 위한 경로 정보를 얻어야 합니다. 그것을 위한 방법 중 하나가 트랜싯입니다. 트랜싯은 AS가 다른 AS에 대해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서비스 이용자가 되는 AS는 자신의 네트워크를 서비스 제공자인 AS에 접속하고 나아가 경로 정보를 제공 받습니다. 이를 통해 광범위한 네트워크 단말기와 직접 통신할 수..
디지털 트윈이란 (Digital Twin)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이란 현실 세계에서 수집한 다양한 데이터를 마치 쌍둥이인 것처럼 컴퓨터에서 재현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컴퓨터상에서는 수집한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무한정 현실에 가까운 물리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해져 자사제품의 제조공정이나 서비스 방식을 보다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이 됩니다. 예를 들면 제조 라인의 일부를 변경하는 경우 등, 사전에 디지털 트윈 상에서 테스트 운영함으로써 개발 기간이나 코스트의 삭감을 전망할 수 있습니다. 또, IoT를 활용해 리얼 타임의 정보도 도입해 가는 것으로, 상품의 고장 예측에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같은 제조 공정을 거쳐 출하된 2개의 제품이 있는 경우, 출하 후의 가동 상황을 Io..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란 (에릭 스토르터만 교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은 2004년에 우메오 대학(스웨덴)의 에릭 스토르터만 교수가 제창한 개념입니다. 디지털테크놀로지를 구사해, 기업의 본연의 자세나 거기서 일하는 사람의 본질을 변화시키는 변혁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또 IT전문 조사회사인 IDC에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기업이 제3의 플랫폼(클라우드 빅데이터/애널리틱스 소셜 기술 모빌리티) 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새로운 관계를 통해 가치를 창출하고 경쟁상의 우위성을 확립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경제산업성에서는 "DX(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리포트 IT 시스템 '2025년의 벼랑'의 극복과 DX의 본격적인 전개~" 중에서 기존 IT 시스템의 과제를 ..
디지털라이제이션이란 제품 서비스의 부가가치 높이기 디지털라이제이션은 디지털화의 의미로, 주로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제품이나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을 가리킵니다. 아날로그 처리되던 것을 디지털화하고, 기존에 없던 편리성을 창출하거나 업무에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여 효율화를 도모하는 등의 대책이 디지털라이제이션이라고 불립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동등한 의미를 갖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디지털라이제이션은 현재의 것을 디지털화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한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비즈니스 모델 등의 변혁을 목표로 하는 활동이며, 양자는 다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챗봇이란 대화형 로봇에 대해서 챗봇은 사용자의 음성이나 입력된 텍스트에 대해 자동으로 답변하는 대화형 로봇입니다.이 명칭은 '채팅(chat)'과 '로봇(robot)'이라는 두 가지 단어가 유래되었습니다. 챗봇의 역사는 1960년대 간이판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2000년대에는 음성 기능을 탑재한 "Siri"가 등장했고, 이후에는 거치형인 "Amazon Echo"라는 AI 스피커로까지 발전해 왔습니다. 챗봇이 발전한 배경에는 자동 음성인식, 자연 언어 처리, 텍스트와 음성의 상호 변환 기술의 고도화가 있습니다. 또, 이러한 기술은 AI(인공지능)가 딥러닝(심층 학습)을 반복하는 것으로 정밀도가 향상해 갔습니다. 챗봇은 주문 접수나 문의 대응을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인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그..
애그리게이트 컴퓨팅(Aggregate Computing)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애그리게이트 컴퓨팅이란, 복수의 물건(디바이스등)을 제휴시켜, 하나의 서비스로 실현시키려는 기술입니다. 영어로 Aggregate Computing입니다. Aggregate에는 '모으다'는 의미가 있으며 사물과 사물을 클라우드를 통해 연계시켜 필요한 데이터나 사용자의 움직임을 집약시키고 마치 하나의 컴퓨터에서 구현되는 것처럼 일련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개념은 2015년에 사카무라 켄 도쿄대학 대학원 교수가 제창한 생각입니다. IoT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AI, 센서 기술, 임베디드 기술, 또 네트워크 기술을 집약해 어그리게이트 컴퓨팅을 구사함으로써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 일련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오픈소스란 Open Source 오픈소스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고 있는 프로그램 "소스 코드"를 무상으로 일반 공개하는 것. 그렇게 함으로써 누구나 그 소프트웨어의 개량이나 재배포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은 전세계의 뜻있는 프로그래머에 의해 계속적으로 개량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으로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서버 OS로서 많은 사용자에게 이용되고 있는 Linux는 오픈 소스의 대표적인 예 중 하나이며, 개량되어 패키지화된 많은 제품이 재배부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는 누구나 그 소프트웨어를 개량해 재배포할 수 있으므로 기업이 오픈소스를 베이스로 개량한 자사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는 경우, 라이센스료로서 사용 요금을 받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위의 Linux의 경우도 제공될 때 유상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